[경향신문]
정부의 대출규제 및 금리인상 등의 여파로 주택매매시장이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거래는 2019년 3월 이후 32개월 만에 거래량이 석 달 연속 3000건을 밑돌 것으로 전망된다. 이 와중에도 강남 등 대출규제로 인한 영향이 크지 않은 지역은 일부 거래량이 느는 등 주택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기준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 자료를 보면 11월 거래량은 전체 502건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월 2702건을 기록했고, 10월은 2292건까지 집계된 상태다. 매매거래의 신고기한이 계약체결일로부터 최대 30일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10월 거래량 역시 3000건 미만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10월의 경우 24일까지 집계된 거래량이 574건이었다. 시점을 놓고 비교하면 11월 들어 매매거래량이 더 적고, 통상 4분기가 부동산 비수기인 점, 한국부동산원의 서울지역 매매수급지수가 지난 26일 98.6으로 2주 연속 매도우위인 점 등을 종합하면 11월 거래량은 10월보다 더 적을 가능성이 크다고 부동산 업계는 예상한다.
현재 추세대로 석 달 연속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3000건 미만을 기록한다면 ‘역대급’ 거래절벽 시기였던 2019년 3월 이후 처음이 된다. 2019년 초 거래절벽의 경우 2018년의 ‘9·13 대책’ 여파로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발생했다. 대책 직후인 2018년 11월~2019년 2월 기간에는 넉 달 연속 거래량이 1000건대에 머물기도 했다.
매매거래 급감 속에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9월 대비 10월 매매거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도 같은달 강남구의 거래량은 238건으로 9월(144건) 보다 오히려 큰 폭으로 늘었다. 서초구도 같은 기간 거래량이 122건에서 116건으로 감소폭이 크지 않은 반면 노원구(215건→150건), 강북구(47건→31건), 구로구(155건→118건), 금천구(72건→64건), 중랑구(104건→66건) 등 비강남권의 거래량 감소가 더 많았다. 고가주택이 밀집한 강남·서초 등지는 당초 대출이 가능한 아파트가 많지 않기 때문에 대출규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일명 ‘현금부자’ 등의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향후 이자부담과 대출한도 축소가 동반되며 다주택자의 주택 추가 구입 수요는 감소하고 당분간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무분별한 주택구입보다는 대기수요가 꾸준한 신축이나 교통망 예정지, 공급희소성이 지속될 수 있는 지역 위주로 매입수요가 제한되며 지역별 양극화가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거래절벽이 이어질 경우 내년 봄 이사철과 맞물려 임대시장 불안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26일 기준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100.5로 전주(100.8) 대비 하락했지만 상대적으로 서민 세입자 거주비율이 높은 서울 동북·서북·강북권역은 전세수급지수가 전주 대비 모두 상승했다. 함 랩장은 “매매수요가 감소하면 일부 수요는 임대차로 옮겨가기 때문에 전세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송진식 기자 truejs@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