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직장인 정모씨는 최근 집 근처 공인중개사무소를 찾아가 상담을 했다. 지난해 2월 부동산 광풍에 휩쓸려 구매한 아파트가 애물단지가 되고 있어서다. 그는 “이러다 평생 집 못 살 수 있다는 조바심에 직장과 한참 떨어진 강서구 쪽에 아파트를 샀다”고 말했다. 당시 7억원 상당의 아파트값을 마련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부터 저축은행 신용대출, 회사 대출 등을 끌어왔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도 부족해 부모에게 차용증을 쓰고 1억원을 빌려 산 아파트였다.
문제는 대출 금리가 빠르게 뛰면서 이자 부담이 커졌다. 정씨는 “매달 190만원가량을 빚 갚는 데 쓴다”며 “아파트값이 오르면 버티겠지만,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도 많아서 지금이라도 팔아야 할지 고민이 된다”고 토로했다.
불어나는 대출 이자에 ‘패닉바잉(공포매수)’으로 집을 산 차주들의 잠 못 드는 밤이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아파트ㆍ연립주택 등 집합건물 거래량(24만8633건) 가운데 보유 기간 3년 이하의 거래 비중은 26.14%다. 매도자 4명 중 1명은 구매한 지 3년도 안 돼 팔고 있다는 의미다. 이는 2019년 4분기 이후 가장 높다. 1년 이내 판 비중은 이 기간 거래된 집합건물 약 10채 중 1채(9.92%)에 이른다. 직방 관계자는 “2~3년 전 저금리로 대출을 받아 산 경우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해 처분하는 경우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
변동금리가 고정 추월한 ‘금리 역전’
시장금리가 치솟으면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고정(혼합형) 금리보다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29일 기준 4개 시중은행(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의 주담대 변동금리(신규취급액 코픽스 기준)는 연 4.44~5.63%로 나타났다. 상단 기준으로 주담대 고정금리(연 4.46~5.54%)를 앞질렀다.
일반적으로 고정형 주담대 상품은 은행이 금리 변동에 대한 위험성을 떠안기 때문에 가산금리 등을 더 붙여 변동형 상품보다 금리가 높다. 금리가 역전한 데는 변동금리 지표금리인 코픽스가 급등하고 있어서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최근 5개월 연속 상승해 지난 6월 15일 기준 2.38%를 기록했다. 전달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은행연합회가 2010년 1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를 발표한 이래 가장 큰 오름폭이다. 특히 신규취급액 코픽스는 은행들이 매월 새로 취급한 수신상품(예금, 적금 등)의 가중평균금리라서 기준금리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반영한다.
반면 주담대 고정금리(5년 혼합형)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무보증 AAA) 5년물의 금리는 최근 하락세다. 지난달 17일 연 4.147%까지 올랐지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며 지난 28일엔 연 3.627%까지 떨어졌다.
신용대출 금리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4대 은행의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29일 기준 연 4.91~5.66%다. 일부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 상단은 연 6.29%로 뛰었다. 시장에선 지난 13일 한국은행이 첫 빅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8월에도 금리를 인상하면 신용대출 금리는 조만간 7% 선을 뚫을 것으로 예상한다.
━
금리 7% 시대, 170만명 빚 못 갚아
대출 금리가 무섭게 오르면서 대출 취약계층의 부실 위험은 커지고 있다. 금감원은 대출 평균 금리가 7% 수준에 이르면 소득에서 생계비를 빼면 대출 원리금을 못 갚는 사람이 190만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앞으로 시장 금리가 1%포인트 더 오르면 2금융권의 대출자 97만명이 대부업이나 제도권 밖 금융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김미루 KDI 연구위원이 지난 26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2금융권에서 연 18~20%의 고금리 신용대출을 받는 취약계층은 시장 금리가 더 오르면 대출 연장을 못 받을 수 있다. 2금융권은 법정 최고금리 한도(연 20%)에 묶여 대출 조달금리를 높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3개 이상의 금융사에서 기업 대출을 받은(다중채무자) 개인사업자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기업대출을 받은 개인사업자 중 다중채무자는 38만2235명이다. 2019년 말(13만1053명)과 비교하면 약 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출 잔액도 101조원에서 183조원으로 80%가 늘었다. 진 의원은 “자영업자들은 기업대출 외에도 개인 자격으로 받은 가계대출까지 사업에 끌어다 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실제 위험은 이보다 더 심각할 것”이라며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금융지원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승환 기자 song.seunghwan@joongang.co.kr
[J-Hot]
▶ 최상위 3%만 눌 수 있는 수퍼 똥… 목숨도 살린다
▶ “3일내 세상 떠난다”…서울대병원 8평 그곳의 비밀
▶ “비릿한 썩은내 신고” 옆집 문 여니 검붉은 액체가…
▶ “미용실 원장은 상간녀” 전단 뿌린 범인, 충격 정체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송승환 song.seunghwan@joongang.co.kr